-
11. 중국 근현대 도자기의 맨얼굴
20세기 초 천강채와 광채자기가 대세였고, 민국과 공산화 시기 경덕진 중심으로 도자기 산업이 재편되었습니다. 개혁개방 이후 도자기는 자본주의 방식으로 급격히 변화하며 세계적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2024-11-28 -
10. 19세기 청나라는 천강채만 달랑 남았다
19세기 중국은 전란으로 도자기 산업이 붕괴하고, 전통 기법이 단절되었습니다. 천강채와 같은 회화적 기법이 도입되었지만, 조악한 품질의 연질자기가 주류를 이루며 도자기 산업은 쇠퇴했습니다.
2024-11-28 -
09. 강희제는 중국도자기를 좋아했다
강희제는 경덕진 어요창을 재건하며 분채 도자기를 창안하고 고도자 재현에 힘썼습니다. 그의 도자기 정책은 청조 도자기의 발전과 전통 계승에 기여했으며, 서양과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기법도 도입했습니다.
2024-11-28 -
08. 명나라의 해금정책(海禁政策)과 도자기
명의 해금 정책은 도자기 기술의 유출을 막았으나, 명청교체기(1618-1683)에는 기술자들의 이주와 국제 무역으로 중국 도자기의 세계적 확산이 시작되었습니다. 선덕제 시기 연호를 굽에 새기고 오채와 투채 기술을 도입해 도자기 양식을 발전시켰습니다. 명말 도공의 이주는 일본 자기 발전에 영향을 미쳤고, 유럽에서는 수출용 크라크 자기를 중심으로 도자기 무역이 활발해졌습니다.
2024-11-28 -
07. 청화백자는 시방도 도자기의 꽃인가?
청화백자는 원나라 후기 등장 이후 동서양에서 사랑받는 대표 도자기로 자리 잡았습니다. 청화 안료 코발트는 중동에서 전래되었으며, 고온 소성으로 푸른빛을 발현합니다. 원청화는 소마리청을 사용한 초기 작품으로, 희소성과 예술적 가치로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조선의 청화백자는 세조 시기부터 제작되어 일본에서도 고소메로 알려졌습니다.
2024-11-28 -
06. 시방 청자가 도대체 무엇이길래, 청자청자 하는 걸까요?
청자는 중국에서 시작되어 고려에서 최고 수준으로 발전한 도자기로, 자기의 역사와 밀접합니다. 월주요는 청자의 시작점이며,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2024-11-28 -
05. 중국학[Sinology]이라는 것이 시방 도자기와 뭔 상관입니까?
중국 도자기는 서양에서 학문적 연구와 수집의 대상이 되었으며, 대표 청자인 월주요와 고려청자는 최고 수준으로 발전했습니다.
2024-11-28 -
04. 중국 5대 명요를 시방 알아보아요
자기와 도기에 대한 설명을 드렸으니, 자기의 본고장이자 도자 역사의 가장 중요한 중심축인 중국의 도자기 역사에 대해, 간략하고 실용적인 관점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2024-09-25 -
03. 도기와 자기의 구별
도기(陶器)와 자기(磁器)의 차이점(구별점)은 도자기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기초로, 이 차이점(구별점)이 도자기의 본질을 파악하는 근본 요체가 되기 때문입니다.
2024-09-25